2. 해킹의 위험성
- 과거 LGU플러스 해킹 사건에서는 30만 건 이상의 정보가
불법 거래 사이트에 팔렸으며, 26개 항목의 개인 정보가 유출됨 .
sk텔레콤 해킹 사건에서도 개인들이 피해를 떠안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, 통신사가 책임질지 의문임 .
유심 해킹 의 위험성은 정보 유출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점에 있음 .
- 해커가 유심 정보를 이용해 피해자의 전화번호를 자신의 유심으로 이전하는 '유심 스와핑'을 통해
금융 피해 를 입힐 수 있음 .
개인 정보 유출 로 이메일, SNS,클라우드 정보 가 유출될 수 있으며,명의 도용 으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 .
유심스와핑 알아보러 가기
3. 유심 교체의 필요성
유심 교체 는 해킹 피해를 예방하는 가장 나은 선택임 .
- 삼성과 현대 등 주요 기업들은 임원들에게
유심 교체 를 지시했으며, KB와 농협은sk텔레콤 인증을 중단함 .
- 많은 사람들이
유심 교체 를 미루고 있지만, 피해가 발생하면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질 수 있음 .
sk텔레콤 은유심 교체 를 무료로 제공하지만, 고객들이 교체하지 않으면 피해 발생 시 책임이 고객에게 돌아갈 수 있음 .
4. 법적 책임과 대처 방안
-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입증하기 어려우며, 민사 소송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듦 .
-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월요일에 유심을 교체하는 것이 개인에게 나은 선택임 .
sk텔레콤 은유심 교체 비용을 부담하며 고객의 피해를 막으려 하지만, 고객들이 교체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.
- 과거 저축은행 파산 사건과
보이스 피싱 피해 사례를 통해,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함 .
- 국가도
사이버 공격 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통해 기업들이 비용 고민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함 .
- 아직 피해자가 없지만, 안일하게 대처하지 말고
유심 교체 를 통해 재산을 보호해야 함 .
4. 유심보호 서비스 신청하기
- 유심을 빼서 다른 폰에 넣으면 사용할수 있는데
- 유심이 해킹된 경우 내 유심을 다를 공기계에 넣어 맘데로 사용할수 있다는 얘기
- 내폰에 들어있는 물리적인 유심이 여러개 복제되어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됨
- 하루라도 빨리 유심보호 서비스 신청을 먼저 하시길..